본문 바로가기
일상이야기

조선 시대 현대 이혼 칠거지악 삼불거 차이

by MooTi 2022. 11. 25.

남자 여자가 사랑하여 결혼 후 여러 사유로 이별인 이혼 소송을 하는데 조선 시대 역시 이혼 사유가 정해져 있었으며, 여성이 이혼 당하지 않을 수 있는 3개의 방패 삼불거가 존재했습니다. 칠거지악과 삼불거 내용과 현대 이혼 사유 차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드라마 슈룹 12화에서 나온 칠거지악은 이혼 당할 수 있는 7개 창을 의미하고, 삼불거는 이를 막을 수 있는 3가지 방패를 뜻하고 있습니다. 조선 시대와 비교해 현대에는 방패가 아닌 금전 배상이 필요하며, 아내라도 남편에게 악질 채무 행위 시 채무불이행자 명부 등록이 필요합니다.

 

◐ 조선 시대 현대 이혼 칠거지악 차이

 

칠거지악은 처를 내보내거나 강제 이혼하는 사유이며, 사유 없이 이혼 시 장 80대에 처하게 한 칠출입니다. 다만, 삼불거에 해당할 때 다시 재혼 시키는 조항이 있었습니다. 조선 시대에도 합의 이혼은 존재했으며, 합의 이혼 시 처벌은 없었습니다.

 

칠출 첫 번째 사유는 시부모를 잘 모시지 못하는 것으로 현대 사회 고부 갈등과 유사합니다. 고부 갈등 역시 이혼 사유 중 가장 많은 원인으로 조선에서는 시부모 공양을 못할 때 쫓겨나게 됩니다. 두 번째는 아들 출산을 못하는 것으로 현재도 암암리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아들이나 자식 출산을 못할 때 조선에는 씨받이가 있었고, 현대 사회에는 인공 수정이나 대리모가 존재합니다. 칠거지악 세 번째는 부정을 저지른 여인으로 현대에는 상간녀와 비유할 수 있으며, 이혼 소송 시 위자료 및 벌금 판결에 불리한 입장에 처해지게 됩니다.

 

질투는 4번째 사유로 현대 사회 의부증이나 가스라이팅과 비유할 수 있어 자가 진단이 필요합니다. 5번째 사유는 나병 및 간질 등 유전 병이었는데 현대 불치병, 암, 혈액암 투병 등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6번째 말이 많은 여인으로 현대 뒷담화 및 거짓말이 심한 여자입니다.

 

칠거지악 마지막 7번째 사유는 훔치는 도적질로 이건 세계 공통으로 현대에도 남편 재산을 훔치거나 차명으로 숨기는 행동 또는 갈취했을 때 이혼만이 아닌 민사 손해배상 및 형사 처벌까지 되는 최악의 아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조선 시대 현대 삼불거 차이 비교

 

결혼은 단순 남편과 부인이 아닌 집안끼리 중대사이며, 이 부분은 현대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조선 유교 사상에서 칠거지악을 범하더라도 내쫓지 못하는 3가지 사유가 삼불거이며, 현대 이혼 거절 사유 및 위자료 증액 사유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 부모의 3년 상을 같이 치렀던 아내는 버릴 수 없었으나 현대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3년 이상 세월을 같이 하였다는 증명으로 재산 분할 소송에 활용은 가능합니다. 2번째 삼불거는 혼인 당시 가난하고 천한 지위에 있었으나 후에 부귀를 얻은 아내였습니다.

 

삼불거 2가지 사유는 현대 이혼과 차이점을 비교할 때 이혼 당하지 않는 방법이 아닌 재산 분할 기여도이며, 결혼 당시 재산 차이가 많았다면, 함께 한 기간이 아무리 길더라도 이혼 소송에서 많은 재산 분할 비율이 선고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조를 가진 남자와 1천만원 가진 여자가 결혼하여 10년 이상 함께 했더라도 이혼 사유를 떠나 재산 분할 시 잘 나와야 남편 7, 아내 3 정도입니다. 이혼 재산 문제가 걱정일 때 결혼 전 미리 합의 계약서를 작성하여 결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지막 삼불거는 이혼 후 돌아갈 친정이 없는 경우로 도의적 방패였습니다. 현대 사회에는 존재하지 않는 사유로 정말 착한 남편일 때 가능한 방패입니다. 좋은 일이 아니지만, 이혼 예정이나 소송 진행 중일 경우 처분 금지 가처분이나 공동 명의 재산 가압류 신청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압류 비용 공탁금 비율

 

가압류 신청 비용 공탁금 비율 정리

가압류 신청시 발생되는 비용은 인지대와 송달료, 등록면허세, 지방교육세, 공탁금이 있습니다. 가압류 신청 인지대 비용과 신청 종류에 따른 비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가압류 종류에 따른 공

mooti.tistory.com

 

댓글